메뉴2318 U/W Red Island, South Sea, Korea. U/W Red Island, South Sea, Korea. 매물도 홍도 수중. 흔히들 알섬 이라고 알려진 이 섬은 서해 홍도와는 위치적으로 다른 곳에 있기에 남해 홍도라고 부르고 있다. 하지만 이 섬의 올바른 표기법은 매물도 홍도이다. 이 섬이 매물도 어촌계 관할이기 때문이다. 이 섬은 매물도 3곳의 어촌계가 공동으로 관리하고 있으며 한때 이곳에서 나는 수익은 매물도 초등학교 운영비로 쓰이기도 하였다. 때문에 이번 다이빙도 매물도다이빙리조트의 안내로 진행되었다.홍도는 매물도에서 약 50분 거리에 위치한다. 수많은 갈매기들이 이맘때 쯤이면 섬 전체를 뒤덥고 장관을 연출해 내고 있다. 홍도는 남해안을 대표하는 다이빙 포인트 중의 한곳이다. 홍도에서 촬영한 몇자의 사진을 소개한다. 감태 숲속에는 화려한 뿔산.. 2014. 6. 16. U/W Dokdo, East sea, Korea U/W Dokdo, East sea, Korea 대한민국 독도 수중(大韓民國 獨島 水中) 지인이 독도 수중 사진이 필요하다하여 정리하다가 몇장 찾아서 올려 본다. 꽤 많이 독도에서 다이빙을 진해하고 사진을 촬영하였는데 수중 사진은 별로 없다. 5개의 외장하드중에 4개가 에러가 나서 많은 자료가 공중에 떠 있다. 독도에서 해양 조사를 도와 주며 촬영한 사진이 그나마 남아 있어 올려본다. 2014. 6. 13. 에코다이빙, 수중사진가도 예외는 아니다. 해저여행 5/6월호 발행인 칼럼 에코다이빙, 수중사진가도 예외는 아니다. 발행인 신광식 얼마 전 다이빙 업계 관계자 분들과 점심 식사를 하는 자리 이었다. 당연히 화재의 중심은 다이빙과 관련된 이야기들이었다. 그러던 중 지난 호에 필자가 사설을 쓰게 된 사연을 이들에게 설명을 하고 있는데 건너편에 앉아 있던 지인이 한마디 거들었다. 일반 다이버들뿐만 아니라 수중사진가들 역시 보다 철저하게 에코 다이빙을 즐겨야 한다는 것이었다. 에코 다이빙을 표방하고 실천해야할 당사자들은 타의 모범이 돼야 하기에 더욱 철저해야 하는데 그렇지 않은 장면을 목격하고 매우 씁쓸하여다는 말을 덧붙였다. 언제부터인지 다이버들 사이에 에코 다이빙이 회자되기 시작하였다. 수중사냥과 채집 등을 배제하고 수중 환경을 보호하면서 다이빙을 .. 2014. 6. 2. Published Undersea Travel 5/6, 2014 Published Undersea Travel 5/6, 2014 해저여행 5/6월호 발간 해저여행 5/6월호가 발간되어 배송 준비중입니다. 이번 호 표지 모델은 유명 레이싱 모델 홍은빈입니다. 이번 호에는 커버 스토리로 말레이시아 마타킹 섬을 소개합니다. 또한 필리핀 릴로안과 국내 다이버들이 가장 가보고 싶어하는 울릉도 그리고 속초에 위치한 교암 다이브리조트가 소개됩니다. 김지현 교수가 소개하는 "다이버가 알아야 할 해양생물"과 "마린 라이프" 가 소개되며 "새내기 다이버 레이싱 모델 홍은빈"의 이야기도 소개됩니다. 수중 사진가 "김광복의 다이빙 포인트 기행" 다큐멘터리 감독 "윤순태의 민물고기 이야기" 국제신문 기자인 "박수현의 바다이야기"와 수중사진 입문서 "재미있는 수중 사진"도 소개됩니다. 일본의.. 2014. 5. 30. The pictures of 30 years ago, Young diver Simon in Red Island, Korea The pictures of 30 years ago, Young diver Simon in Red Island, Korea 30년 전의 나의 모습 지난 1983년 혹은 84년 쯤으로 기억한다. 군 복무를 마치고 제대 후 남대문 우정사에서 아르바이트를 하던 중 우연하게 원창선(현 필리핀 원다이브 그룹 대표)선배를 만나 전라남도 홍도에서 가이드 생활을 하던 때이다. 이 당시 거의 국내 최초로 체험 다이빙을 이곳에서 실시하였다. 당시 체험 다이빙 비용은 15,000원이었다. 많은 때는 하루에 5번도 실시할 정도로 히트 상품이었다. 이곳에서 3개월 넘게 지내고 서울로 올라와 보니 나도 모르게 나름 다이빙 계에 일원이 되어 있었다. 이를 계기로 85년 원다이브 제주를 만들기 위해 원창선 선배와 함께 제주시와 서귀.. 2014. 5. 30. pygmy seahorse in front of Mataking Resort, Malaysia pygmy seahorse in front of Mataking Resort, Malaysia 마타킹 섬의 피그미 해마 지난 해 마타킹 섬에서 촬영한 피그미 해마이다. 원래 눈이 좋지 않고, 무거운 D3 카메라 시스템을 들고 접사 촬영을 하기가 쉽지 않았다. 손톱만한 녀석을 촬영하려고 한 곳에 계속 머물다 보니 성질 급한 나는 이 녀석들을 찾아준 가이드가 원망스러웠다. 정말 눈으로 확인하고 촬영을 하려고 파인더를 들여다보면 녀석들이 안 보이고를 반복하기를 여러번 결국 감압까지 해야 하는 상황이 발행하였다. 꼼지락 꼼지락 움직이는 녀석들의 눈에 촛점을 맞추려고 내 눈을 부릅뜨고 무거운 카메라를 들고 부들부들 떨며 촬영하며 내가 뭔짓 하는 건지 한심한 생각까지 들었다. 어쩄든 당시 촬영한 피그미 해마들이다. 2014. 5. 26. Underseatravel Magazine Cover Model for May/June, 2014 Underseatravel Magazine Cover Model for May/June, 2014 해저여행 5/6월호 표지모델 - 레이싱 모델 "홍은빈" 어제(5월 24일, 토요일) 올림픽 공원 수영장에서 해저여행 5/6월호 표지 촬영을 하였다. 이번 호 해저여행 표지 모델은 전문 레이싱 모델 "홍은빈"이다. 지난 2011년 부산 모터쇼 르노 삼성관 메인 모델로 데뷔한 그녀는 이후 각종 레이싱 경기, 모터쇼, 게임쇼 등에서 포즈 모델과 광고 모델로 활약하고 있다. 그녀는 지난 1월 아시아 최대규모의 모델 행사인 아시아 모델 어워드에서 레이싱 모델 부문에서 최고의 인기를 누리고 있는 모델에게 수여하는 네티즌 인기상을 수상하며 최고의 레이싱 모델로 자리매김을 하였다. 곧 있을 부산 모터쇼에서는 쉐보레관 메인.. 2014. 5. 25. Dive Mataking, Malaysia Dive Mataking"Garden of Eden", Malaysia 가든 오브 에덴 마타킹 본 섬 남쪽 산호초 끝단에 위치한 이곳은 마타킹은 물론 주변의 다른 포인트들과 전혀 다른 분위기를 보여주는 곳이다. 가든 오프 에덴 포인트는 직벽이 아니라 완만한 경사를 이루며 끝없이 펼쳐지는 연산호류가 융단깥이 깔려있다. 다양한 해면류들이 포인트의 단조로움을 커버해 주고 있다. 이곳 수중은 몽환적인 분위기가 인상적이다. 이곳에서 촬영한 수중 사진 몇 장을 소개한다. 2014. 5. 23. Macro in Mataking, Malaysia Macro in Mataking, Malaysia 마타킹 리조트에서 접사 촬영 마타킹 리조트 주변은 접사 촬영 소재가 매우 풍부하다. 경험 많은 가이드들이 수중 사진가들을 위해 소재를 찾아주기에 사진가는 자신의 스타일로 촬영에 임하기만 하면된다. 사진은 지난해 촬영한 접사 사진들이다. 2014. 5. 22. dive with whale shark, Oslob, Philippines. Dive with whale shark, Oslob, Philippines. 고래상어와 함께 다이빙 필리핀 세부 섬 남동쪽 오슬롭에는 마을 앞 바다에서 고래상어들과 함께 다이빙을 즐길수 있다. 마을 어민들이 고래상어에게 먹이를 주며 이들을 불러 모으기 때문이다. 고래상어는 신기하게도 벌써 몇년째 이곳에 머물다 싶이하며 매일 찾아오고 있다. 처름보다 오히려 고래상어 개체수가 늘고 있다. 오슬롭의 이러한 상화은 세계적으로 이슈가 되어 연일 수많은 관광객들이 이곳을 찾고 있다. 이들 관광객과 다이버들이 지불하는 비용으로 마을에는 풍요가 찾아왔고 지방정부까지 수익이 일부를 가져가고 있다. 일부에서는 고래상어를 길들이는 행위라고 비난을 하지만 가난한 주민들에게 고래상어 피딩으로 인한 수익은 이젠 포기 할 수 없는.. 2014. 5. 20. Dive in Ulleungdo 3, East sea, Korea Dive in Ulleungdo 3, East sea, Korea 울릉도 물새바위 포인트 울릉도에서 3박 4일 일정을 마치고 오늘 오후 배 강릉을 경유하여 집으로 돌아간다. 아래 사진들은 첫 날 물새바위에서 촬영한 사진들이다. 이번 울릉도 취재는 3박 4일 동안 단 2회 다이빙만 진행하였다. 일정에 비해 다이빙 횟수는 적었으나 기사를 만들기에는 충분하다. 6월에 또 다시 울릉도에 올 일이 생겼기에 무리해서 다이빙을 진행하지 않았다. 물새바위에서 촬영한 사진을 소개한다, 2014. 5. 19. Macro Mataking, Malaysia Macro Mataking, Malaysia 마타킹에서 접사 촬영 마타킹 섬을 비롯하여 주변 섬들에는 접사 촬영 소재들이 매우 다양하다. 때문에 접사 촬영을 전문적으로 하는 수중 촬영가들에게 적극 권장한다. 리조트 전문 가이드들이 접사 촬영 소재를 부지런히 찾아 주기에 촬영자는 이들이 찾아 주는 것을 쉽게 촬영할 수 있다. 마타킹에서 촬영한 접사 사진 몇 장을 소개한다, flogfish sp. pygmy seahorse sp. nudibranch sp. commensal shrimp nudibranch sp. Redfire goby batfish juvenile 2014. 5. 18. 이전 1 ··· 95 96 97 98 99 100 101 ··· 194 다음